최근 경기도 고양시에 대형 쇼핑몰이 잇달아 들어 서고 있다. 당연히 피크시간대 쇼핑몰 일대의 교통은 교통지옥을 방불케 한다. 쇼핑객 및 인근 주민 모두가 고통을 받고 있다. 주차공간은 수용을 하지 못해 불법주차를 하지만 지자체는 주차장 확보가 안된 상황에서 엄격한 단속도 힘들다. 주차단속으로 민원이 쇄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불법주차를 전혀 단속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반대의 민원도 있기 때문이다. 인근주민들이 불법주차로 불편을 겪게 되는 경우 불법주차 단속을 촉구하는 민원을 넣는다.
이런 문제는 당초 교통량 예측이 잘못되어 생긴 문제다. 이런 대형 쇼핑몰은 지자체의 적극적인 유치전략으로 입점을 계획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허가승인을 위한 환경영향평가(교통량 예측 포함)는 형식적으로 꾸미게 마련이다. 최대 5천대의 주차장이면 충분하다는 결론으로 사업승인을 받게 되지만 현실은 7천대가 넘는 차량들이 쇼핑몰을 찾는 식으로 현실과 괴리가 발생하는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6253359F901B626)
이런 민간/국책사업의 경우 교통량 예측, 이용량 예측을 하게 되는데 통계과 학문의 장난이라 할 수 있다. 그럴듯하게 꾸며 대는데 이는 거의 결론을 위한 백업자료 조작 수준이다. 많다 적다 둘 중 하나인데 수요예측은 거의 틀린다. 이런 쇼핑몰 교통량은 거의 적게 결론내어 막상 입점하면 교통량이 넘쳐 사회적 비용으로 충당하고, 고속도로 교통량 예측의 경우 과다하게 예측하여 개통 후 이용량이 적은 경우가 다반사다. 이는 건설비용이 세금으로 만들어 지는 관계로 궁극적으로는 세금낭비인 것이다.
이케아와 스타필드의 경우 주차장 문제 뿐 아니라 대중교통 부족 문제도 있다. 인근의 버스노선이 몇 안될 뿐더러 배차간격도 길어 대중교톻을 이용하여 쇼핑몰을 방문하는데 불편하다. 또한 쇼핑한 물건들이 크고 무거운 경우 버스 등을 이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 자가용을 이용한다.
733번 버스는 서울에서 이케아와 스타필드를 오가는 유일한 버스이다. 배차간격은 15~20분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A483359F901B625)
언제 가야 안막힐까? 주말 점심 전후의 경우 많이 막힌다. 수도권 사람들이 자고 일어나서 나와서 도착하는 시간이 점심시간대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오후 4~6시 쯤 서울을 나가는 메인도로가 막힌다. 주로 삼송/원흥쪽에서 자유로를 연경하는 권율대로가 막힌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3F93359F901B726)
인근 주민들은 막히는 시간대에 승용차를 운행하건 버스를 이용하는 일은 피하는게 좋다. 서울 사람들이 쇼핑몰을 향해 가는 도로는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인근 주민들이 이케아나 스타필드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 저녁시간대나 개장시간대가 좋다.
3년 전 2014년 5월 호흡곤란과 심장마비로 쓰러진 삼성의 이건희 회장의 모습은 언론에서 자취를 감췄다. 일각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뿐 건강에는 이상이 없다는 의견도 있지만 언론의 오보로 사망설이 한번씩 제기되는 등 그의 건강악화 또는 사망에 관심이 집중 부각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99A3359F66E9512)
사망하지 않았다면 그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20층 VIP 병동에서 치료를 받고 있을 것이다.
2015년 5월 증권가 시라시 등에서 이건희 사망설이 유포되면서 삼성그룹 계열사의 주식이 요동을 치는 등 사망설이 주가에는 악영향임을 입증했다. 사망설과 관련하여 삼성측은 사실이 아니다라는 말만 되풀이할 뿐 건강을 입증할 만한 특별한 증거를 보여주지 않아 건강에 대해 명쾌한 정리는 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지난 8월 이재용 부회장이 재판에서 "회장님이 살아계실 때부터"라고 말해 이건희 사망설을 재점화하기도 했다.
또한 이건희 회장이 IOC 위원직에 사퇴한 사실이 지난 2017.8월 알려 졌는데 이를 두고 사망설이 나왔던 것이다. IOC측으로부터 위원 사퇴를 통보하지는 않았고, 이건희 가족의 요청으로 IOC 위원 재선임 대상에서 고려히지 말아 달라고 해서 IOC 위원으로 재선임 되지 않았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8AF3359F66E941A)
이건희 회장이 병상에 누어 있었던 때 난대 없는 '이건희 성매매 의혹 동영상'이 언론에 알려 지면서 삼성은 또 한번 홍역을 치뤘다. 2016.8월 뉴스타파는 이건희 동영상을 보도했다. 이 동영상은 강남구 삼성동 자택과 논현동 빌라에서 촬영되었으며, 이회장으로 추정되는 남성과 다수의 여성이 담겨 있다. 한번 출장을 오는데 여성 1명당 500만원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한 바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F263359F66E9513)
동영상은 조직적으로 촬영되었는데 여기에 가담한 다수의 인원들이 모두 실형을 받았다.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후 삼성측으로부터 9억원을 뜯어 내 죄질이 안좋다는 재판부의 판단 때문이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1843359F66E9411)
이건희 관련 최신 기사로는 불법 차명계좌(재산)이 삼성증권과 우리은행 불법계좌에 은닉했다는 것이다. 이 회장이 빼돌린 것으로 의혹을 사고 있는 4조4천억원의 차명재산이 불법계좌에서 나갔다는 주장이 있다. 이 불법계좌는 계좌개설/거래시 본인 확인을 거치지 않았고, 서류상의 명의인과 실제 소유주가 다른 차명계좌다. 정부는 이 차명계좌와 관련 이자와 소득에 대해 90% 중과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으며, 천억원 정도의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임대업왕 경찰경감
경찰간부급 경감이 주택 80채를 소유한 부동산왕으로 밝혀졌다. 정확히 말해 경찰청에 겸직허가를 받지 않고 주택 80여채를 소유하며 임대업을 하고 있는 것이었다.
주택은 20여년 전부터 경매에서 낙찰받거나 대출을 받아 구입하여 늘려 나갔다. 이 경찰관은 2009년 말 공직자 재산등록 과정에서 100여채를 신고하여 처음 밝혀 졌다. 내부감찰 과정에서 경감은 주택은 전세를 끼고 사거나 대출을 끼고 샀으며구입자금은 부정한 돈이 아니라고 소명했다. 전세금을 빼면 마이너스 수익이라고도 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C8A3359E92EBB1F)
감찰 결과 경감의 부동산 구입자금 출처가 규명되어 겸직허가를 받지 않고 임대업을 한 것에 대해서만 견책 처분을 받았다. 그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대출로 집을 사고 임대료를 받으며, 1년에 4채 정도 구입하였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인기가 없는 단칸방아니 옥탑방, 지하방 등을 싸게 사서 수리를 한 후 세를 주는 방식으로 임대업을 영위했다.
경찰대 출신인 경감은 승진에 큰 욕심 없이 무난하게 경찰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본업보다는 겸업하고 있는 임대업 규모가 커 경찰직업은 취미일 수도 있을 정도일 수도 있겠다. 그는 1990년 경위로 임관하여 27년 째 경찰을 하고 있다. 참고로 경찰경감 계급은 공무원 6급 주사 정도의 위치이다. 이런 부동산에 센스가 있는 분께서 임대업은 어찌하여 본인 명의로 했을까? 보통은 배우자 명의로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는데 말이다. 누구에게 물어봐도 이런 정도 규모의 임대업을 경찰생활과 함께 한다는 것은 본업에 지장이 있을 수 있겠다는 판단이 서게 마련이다. 그 부분의 불찰 말고는 부동산의 귀재라고 할 수 있는 분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5EA3359E92EE1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FB93359E92EBC22)
요즘의 세상은 재력이 명예다. 제아무리 경찰청장이라도 승진을 위해 자기시간이 없고, 부정한 방법으로 청탁을 하고 줄대기/줄서기를 하며 권력의 암투에 뛰어 들며 누군가에게 원한을 사고 욕을 먹는 청장자리, 국장자리를 차지하면 뭐가 남는가? 가족이 남는가, 자기계발이 되는가? 스스로는 가족을 위해서라고 하지만 함께한 기억이 없는 아들딸은 엄마만 감싸기에 바쁘고 아빠에 대한 기억은 없어 어색함을 표출할 수 있다. 그저 아빠는 돈을 벌어다 주는 ATM기로 여겨질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