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자컬링팀 결승전 시간 일정, 금메달 가능성

여자컬링 한일전에서 한국이 승리한 이후 결승을 앞두고 있다. 결승전 시간은 25일 일요일 9시이다. 상대는 강호 스웨덴이다.

 

​ 
스킵은 주장이라는 뜻인데 여자컬링의 주장 김은정 선수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뜨겁다. 그녀의 별명은 '안경선배'다. 다소 어색한 디자인의 안경을 쓰고 스크린에 보여 붙여진 별명이다. 다른 별명은 '엄근진'이다. 엄격/근엄/진지의 캐릭터를 가진 그녀를 표현한 별명이다.

 

 

 

 

 

김은정 선수는 경기중 '영미'를 그토록 외쳐댄다. 컬링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이 처음 들으면 '영미'란 단어가 컬링용어로 착각할 정도다. 하지만 영미는 같은 팀 친구다. 영미 친구 김은정, 영미 동생 김경애, 영미 동생 친구 김선영이 여자컬링의 핵심멤버다. 컬링 국대 선발의 경우 특이하게도 개인자격으로 선발하지 않고 팀으로 선발한다.

 

여자 팀추월 경기에서 보여준 볼성 사나운 팀워크로는 이런 컬링같은 팀전은 할수 없다. 여자커링의 경우 분위가가 너무 좋아 이렇게 결승까지 올라선 배경으로 분석하고 있다. 의성 출인인 이들은 방과후 수업에서 시작하여 메달색을 금으로 할지, 은으로 할지 결전의 날을 앞두고 있다.

 

외신기자들 사이에서 '팀킴'으로 불리는 대한민국 여자컬링 선수들은 유니폼에 죄다 'kim'이 쓰여 있으니 꼭 팀이름 같을 것이다.
여자컬링 후원사인 휠라는 엄청난 홍보효과를 누리고 있다. 사실 휠라가 로또를 잡은 건 아니고 6년 전부터 후원을 꾸준히 이어온 끝에 맺은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누가 컬링에서 금메달을 예상했겠는가? 지루한 알까기 수준으로 여기는 이가 많은 비인기 종목이었던 컬링이었다.
반응형

 

 



 



 

반응형
[인생영화 추천]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 이나영 근황 프로필
죽음이란 무엇일까? 사형수의 하루는 어떨까? 우리의 하루가 시시하다면 이나영, 강동원 주연의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2006년 개봉)을 추천한다. 공지영의 장편소설을 영화로 제작했다. 불우한 가정환경에서 범죄에 빠져들어 사형을 구형받은 강동원. 사형수로 수감되어 죽고싶은 마음 뿐이었던 그가 자원봉사로 찾아온 이나영을 만나면서 살고싶은 희망을 갖게 된다.

 

 

 

이나영은 유복한 가정 환경 속에서 살아 왔지만 15세 때 끔찍한 일을 겪은 후 그 상처를 오롯히 혼자서 안고 살아온 외로운 영혼의 배역을 맡았다. 살아온 배경은 달랐지만 상처의 크기는 비슷해 서로에게 공감의 폭을 키워 갔다.

 

 수감소에서 비관적 삶을 살아가던 사형수. 하루 빨리 사형이 집행되어 죽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살아 가다가 이나영이 수감소로 매주 목요일 자원봉사를 나오면서 그 시간을 기다리는 낙이 생겨 나고, 그 낙은 삶을 이어가고 싶다는 욕망에 이르게 된다. 비록 감옥이지만 하루 하루가 행복하고, 지극히 제한된 행복이지만 그 행복만이라도 잃고 싶지 않았던 강동원. 하지만 그 행복했던 어느날 사행집행일이 찾아온다. 사형집행이 지금은 이루어 지지 않지만 불완전하고, 완벽하지 않은 법과 권력이 누군가의 죄를 평가해 그를 살인한다는 것이 마땅한가? 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 현대사에서 이루어 졌던 정의의 살인, 권력에 의한 살인. 그것은 사형이었다.

 

사형집행 전 사형수는 마지막 말을 남긴다. 강동원은 자신이 살해한 가정주부의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말, 그리고 자원봉사를 통해 자신에게 행복과 정을 느끼게 해준 수녀와 이나영에게 감사의 말을 전했다. 그리고 어린 시절 죽은 자신의 동생이 좋아했던 애국가를 나지막히 부르며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죽음을 생각하면 오늘 하루가 얼마나 소중한가, 내가 무심코 바라본 눈길, 나무, 바다의 파도가 얼마나 아름다운가를 깨닫게 될 것이다. 우리는 일상의 소중함을 잊은 채 저 너머의 네잎클로버를 찾아 다니며, 오늘을 불행하게 살지는 않은가? 잘 사는 사람과 비교하며, 자신의 환경을 비관하며 불행하게 살고 있지는 않은가? 지금의 환경에 순응하며 살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삶의 여러 목표를 가지고 열심히 살아 가는 건 필요하다. 하지만, 비관적으로 불행히 살 필요는 없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은 영혼할 수 없기에 그 행복을 스스로 버리지 않도록 노력하자.
이나영의 최근근황
이나영 관련뉴스는 출연료를 떼였다는 소식이다. 지난 2010년 KBS 수목드라마 '도망자 PLAN B'의 출연료를 제작사로부터 못받았고 못받은 액수만 3억6천만원 이라고 알려져 있다. 2015년 원빈과 강원도 정선에서 결혼한 이나영은 같은 해 아들을 출산했다. 이후 '뷰티풀 데이즈'라는 영화로 복귀를 준비하고 있다. 

출처 - 디씨인사이드 

이나영 프로필
197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오륜초등학교-오금중학교-오금고등학교-신구대학 비지니스실무학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1학년 혹은 2학년 시절인 1998년 청바지 브랜드 잠뱅이 광고모델로 발탁되면서 연애계 생활을 시작한다. 이후 광고와 드라마, 영화를 두루 섭렵하며 명성을 쌓는다.
반응형

 

 



 



 

반응형
여자컬링팀 컬링 영미와 안경선배의 한일전 승리 가능성
여자 컬링팀의 금메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팀원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외신은 한국 컬링팀을 '팀 킴'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4명의 팀원 다 성이 '김'이라 유니폼에 'kim'이 쓰여있기 때문이다.

 

 

 

 

이들 모두가 가족이 아니냐는 의심도 하는데 이는 반만 맞는 말이다. 김영미, 김경애 이 두 선수는 자매이다. 그리고 언니 친구 한명, 동생 친구 한명이다. 영미 친구, 영미 동생, 영미 동생친구로 관계를 정리할 수 있다.

 

 

 

 

의성 마늘소녀와 컬링
네명 모두 의성 출신이다. 경북 의성에서 방과후 수업으로 시작한 사이가 이렇게 발전한 것이다. 김영미가 방과후 수업으로 컬링부에 먼저 가입해 있다가 영미친구 김은정이 친구따라 가입했고, 영미동생 김경애는 심부름 갔다가 가입, 영미동생 친구인 김선영은 김경애가 컬링부를 홍보해 가입했다. 이렇게 서로 서로 얽기고 섥긴 사이라 그런지 팀 분위기가 좋아 팀웍도 좋다는 후문이다. 여자 팀추월 파문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경기기간 올림픽에 집중하기 위해 선수 모두 스마트폰을 반납한 상태라 자신들의 인기를 실감하지 못하고 있다.

 

 

안경선배 주장 김은정 별명
여자 컬링 국가대표의 스킵(주장)은 '안경선배' 김은정 선수다. 안경을 쓴 선배란 별명이며, 또 다른 별명은 엄근진이다. 엄격하고 근엄하고 진지하다는 뜻이다.

 

 

컬링 후원사 휠라 홍보효과 톡톡
여자컬링을 후원하는 휠라가 컬링의 관심으로 홍보효과를 크게 누리고 있다. 휠라는 2012년부터 대한컬링경기연맹과 공식 후원계약하여 후원을 6년간 지속하고 있다. 컬링이 뜰것 같으니 후원하는 것이 아닌 비인기 스포츠 부흥을 위해 후원한 것이 결실을 맺은 셈이다.
특히 컬링경기시 무릎을 보이며 스톤을 던지는 자세를 감안한 무릎의 휠라로고는 신의 한수였다. 스톤을 던지는 그 긴장되는 순간 집중하여 보는 시청자에게 클로즈업된 휠라의 로고는 뇌리에 스며들 것이다.

 

 

컬링용어 - 컬링 영미
고요한 빙판에서 스톤을 던진 후 주장이 "영미 영미! 가야돼! 영미!"라고 외친다. 그러면 솔질을 엄청 해댄다. 그래서 관중들은 "영미"가 컬링용어인줄 알았다. 하지만 이는 '영미, 솔질 빨리해'라는 뜻이었다.

 

컬링 금메달 가능성
여자컬링 준결승전은 한일전이다.
2.23일 금요일 오후 8시부터 시작한다. 결승전은 25일 오전 9시에 열린다.

 

반응형

 

 



+ Recent posts